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기후시스템은 대기권, 수권, 설빙권, 생물권, 지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권역의 내부나 권역간의 복잡한 물리과정이 서로 얽혀서 현재의 기후를 유지합니다.
기후시스템을 움직이는 에너지의 대부분(99.98%)은 태양에서 공급되며, 기후시스템 속에서 여러 형태의 에너지로 변하고 최종적으로는 지구 장파복사 형태로 우주로 방출됩니다.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는 태양에서 지구로 들어오는 짧은 파장의 태양 복사 에너지는 통과시키고, 긴 파장의 복사에너지는 흡수해서 지표면을 보온하는 역할을 해서 지구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것이 바로 “온실효과”입니다.
지난 산업혁명 이후로 다량의 온실가스가 대기로 배출되면서 지구 지표의 온도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지구온난화라는 현상이 초래되었고 이는 기후변화로까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기후변화
기후변화협약(UNFCCC) 제 1조에서는 기후변화를 “전지구 대기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인간의 활동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원인이 되어 일어나고, 충분한 기간동안 관측된 자연적인 기후변동성에 추가하여 일어나는 기후의 변화”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자연적인 원인과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기후는 화산분화에 의한 성층권의 에어로졸 증가, 태양 활동의 변화, 태양과 지구의 천문학적인 상대위치 변화등을 이유로 자연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기후시스템의 5가지 주요 구성요소(온도, 습도, 강수, 풍속, 낮 길이)와 대기권, 수권, 빙권, 지권, 생물권 각 요소들이 각자 상호 작용하며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기후변화 : 수 십년 이상 지속되는 기후의 평균 상태 혹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기후의 행동
기후변화의 인위적 원인
대기 조성을 변화시키는 인간 활동에 의해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인간 활동이 대규모적으로 기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은 산업 혁명 초기인 18세기 중엽입니다.
197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은 70%나 증가하였으며(IPCC, 2007), IPCC 제5차 평가보고서(2015)에 의하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해
급격하게 상승 하여 1970년부터 2011년까지 40여 년간 배출한 누적 온실가스가 1970년 이전 220년 동안의 누적배출량과 비슷합니다.
공장이나 가정에서 화석연료 연소와 생물체의 연소 등은 대기 구성 성분에 영향을 주는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을 생산하여 온실가스를 증가시키고
대기 중 에어로졸에 의해 태양 복사에너지 반사와 구름의 광학적 성질변화(산란효과에 의한 지구 냉각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염화불화탄소(프레온가스) 및 기타 불소 화합물, 브롬 합성물 등의 방출은 복사강제력에 영향을 주고 성층권의 오존층도 감소시키며,
도시화와 무리한 토지개발이나 산림채취 등으로 인한 토지 이용의 변화는 지구 표면의 물리적, 생물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